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

덤프버전 : (♥ 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파일: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축구
파일: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jpg
대회기간1984년 7월 29일 ~ 8월 11일
본선 진출국16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득점왕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리슬라프 크베트코비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티예판 데베리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니엘 슈레에브 | 이상 5골
이전·이후 대회
1980년
모스크바
1984년
로스앤젤레스
1988년
서울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편성
4.1.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대회 진행
7.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편집]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4년 전 대회처럼 본선 진출국 중 보이콧 국가가 나온 대회다. 이 대회 이후로 더 이상 본선 진출국의 징계를 제외한 사유의 불참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1]


2. 경기장[편집]


  • 개최 경기장의 상세 소재지, 명칭, 규모 등은 다음과 같다.
도시경기장규모비고홈 팀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로즈 볼103,300석다목적경기장UCLA 브루인스[NCAA]
캘리포니아주
스탠포드[2]
스탠퍼드 스타디움84,500석다목적경기장스탠퍼드 카디널[NCAA]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하버드 스타디움30,323석다목적경기장하버드 크림슨[NCAA]
메릴랜드주
애나폴리스
네이비-마린 콥스
메모리얼 스타디움
34,000석다목적경기장네이비 미드쉽멘[NCAA]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북중미
(CONCACAF)
파일:미국 국기.svg미국개최국1장8회19728강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1984 CONCACAF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3]우승2장2회1980조별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준우승2회1976조별
유럽
(UEFA)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전 대회 우승국1장6회
→ 9회
1980
→ 1960
금메달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소련
→ 서독
1984 LA 올림픽
유럽 지역예선
A조 1위
D조 2위
4장5회
→ 7회
1980
→ 1972
금메달
→ 4위
파일:동독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동독
→ 노르웨이
B조 1위
B조 3위
5회
→ 5회
1980
→ 1952
금메달
동메달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C조 1위10회1980금메달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D조 1위10회19764위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84 CONMEBOL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에콰도르
우승2장7회19764위
파일:칠레 국기.svg칠레준우승3회19521R
아프리카
(CAF)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1984 LA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종예선 승자[4]3장9회19644위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첫 진출--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3회19728강
아시아 (AFC)
오세아니아 (OFC)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1984 LA 올림픽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5]
최종예선 A조 1위3장첫 진출--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최종예선 B조 1위2회19808강
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최종예선 PO 승자첫 진출--

  • 지난 대회의 대거 보이콧으로 인해 대회가 파행 운영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을 위시로 한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입국들이 보이콧으로 맞불을 놓았다. 이 때문에 유럽을 중심으로 축구 종목에서도 대거 기권이 일어났는데, 유럽 예선 A조 1위 소련과 B조 1위 동독이 참가를 거부하며 기권했다. 심지어 전 대회 우승국으로 자동 진출권을 받은 체코슬로바키아마저 기권해 전 대회 우승국의 차기대회 자동진출 원칙이 진출권 도입 후 처음으로 깨졌다.
    • 이들의 출전권은 지역예선 차순위 팀들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A조 2위가 헝가리, B조 2위가 폴란드, C조 2위가 루마니아로 D조 2위 서독을 제외하면 모두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으로 보이콧에 동참한 국가들이었다. 때문에 지역예선 조 3위 팀들에 본선진출의 기회가 돌아갔다. 일단 소련의 진출권은 D조 2위 서독이, 동독의 진출권은 B조 3위 노르웨이가 가져갔고, 마지막으로 전 대회 우승국의 자동진출권은 C조 3위 이탈리아가 가져가게 되었다.[6] 우습게도 이탈리아는 유럽 예선 C조에서 0승 4무 2패의 성적으로 3위를 한 것이라, 지역예선에서 1승도 거두지 못하고 본선에 진출한 꼴이 되었다.

  • 아시아가 오세아니아와 통합으로 지역예선을 치른 마지막 대회다. 호주가 불참한 가운데 오세아니아 국가 중에선 뉴질랜드와 파푸아뉴기니가 통합 예선에 참가했고, 뉴질랜드는 최종예선까지 진출했으나 최종에선 1조 꼴찌를 기록하며 탈락해 이번에도 오세아니아 없는 대회가 되었다.


4. 조 편성[편집]



4.1. 조 편성 결과[편집]




5. 선수 명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조별리그[편집]



6.1.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12054+14
2파일:칠레 국기.svg칠레12021+14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11132+13
4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01225-31
결선 진출 | 탈락


6.1.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30073+46
2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11143+13
3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10235-22
4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01236-31
결선 진출 | 탈락


6.1.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30061+56
2파일:독일 국기.svg서독20181+74
3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0214-32
4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003110-90
결선 진출 | 탈락


6.1.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20121+14
2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11153+23
3파일:미국 국기.svg미국11142+23
4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10227-52
결선 진출 | 탈락


6.2. 토너먼트[편집]





6.2.1.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최종 순위[편집]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첫번째 우승


8. 여담[편집]


  • 우승은 프랑스가 차지했다. 비록 공산주의 국가들의 단체 불참으로 인한 것이지만, 프랑스는 1948 런던 올림픽 축구에서 우승한 스웨덴 이후 36년만에 처음으로 공산주의 유럽 국가가 아닌 올림픽 축구 우승국이 되었다.

  • 대한민국은 지역예선에서 사우디에게 2-0으로 앞서가다 심판의 노골적인 편파판정에 4-5로 역전패 당해 본선 진출을 하지 못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44:35에 나무위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바로 다음 대회에 징계로 인한 실격 사태가 일어난다.[NCAA] A B C D [2] 도시 전체가 스탠포드 대학교 캠퍼스다.[3] 개최국 없이 홈앤드 어웨이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다.[4] 당시만 해도 아프리카 예선은 완전 토너먼트 방식이었다. [5] 최종예선에 진출한 10개국이 싱가포르에서 단기 토너먼트 대회로 최종예선을 치렀다.[6] A조 3위는 불가리아로 보이콧 동참국이었고, D조는 6개 팀이 2개의 작은 조로 또 나뉘어 예선을 치렀기 때문에 조 3위의 개념이 없었다.